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해수중의 총이산화탄소와 총알칼리도 분석을 위한 탄산염 화학 이론 및 측정방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Energy
ISSN 2288-008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모아라,손주원,박용철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된 총알칼리도( $Alk_T$ )와 총이산화탄소( $TCO_2$ ) 분석방법의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스크립스 해양 연구소에서 제조된 이산화탄소 표준물질(Batch 132; $Alk_T=2229.24{ pm}0.39{ mu}mol/kg$ , $TCO_2=2032.65{ pm}0.45{ mu}mol/kg$ )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평균 농도는 각각 $2354.09{ mu}mol/kg$ 과 $2089.60{ mu}mol/kg$ 으로 제시된 농도 값과 총알칼리도는 약 5.6%, 총이산화탄소는 약 2.3%의 차이를 보였다. 기존의 알칼리도 측정방법(Gran Titration)과 본 연구 분석 방법을 중탄산나트륨( $NaHCO_3$ ) 0.340 g( $Alk_T$ $2023.33{ mu}mol/kg$ ) 용액에 적용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방법으로 측정된 중탄산나트륨의 평균 알칼리도 농도는 $2193.39{ mu}mol/kg$ (sd=57.15, n=7)이었고, 본 연구방법의 경우 $2017.02{ mu}mol/kg$ (sd=10.98, n=7)의 알칼리도 평균 농도를 보였다. 또한, 초순수와 해수에 중탄산 나트륨을 첨가해 총알칼리도의 수득률(recovery yield)을 측정한 실험에서 초순수에 대한 첨가실험은 다양한 농도 변화 범위( $0{ sim}4952.39{ mu}mol/kg$ ) 내에서 평균 약 100.8%( $R^2$ =0.99 0.999), 해수에 대한 첨가실험은 다양한 농도 변화 범위( $0{ sim}2041.32{ mu}mol/kg$ )내에서 평균 약 102.3%( $R^2$ =0.99 0.999)로 나타났다. 해수의 이산화탄소 분압( $pCO^2$ )을 측정하는 Pro Oceanus사의 PSI-Pro $^{TM}$ 을 사용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분압과 본 연구를 통해 측정된 $H_2CO_3^*$ 농도와의 비교 실험을 시행한 결과, 약 2주간의 경시변화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 분압은 $427{ sim}705{ mu}atm$ 의 변화를 보였고, 본 연구방법으로 측정된 $H_2CO_3^*$ 의 농도는 $9.15{ sim}15.24{ mu}mol/kg$ 의 변화를 보였다. 측정된 분압과 계산된 $H_2CO_3^*$ 농도의 결정계수( $R^2$ )는 0.977로 나타났다. 본 연구방법을 적용해 동해 강릉 사천항의 표층 해수 중의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일 변화 측정실험 결과, 두 항목의 농도는 일몰 이후 증가하고 일출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이산화탄소와 용존산소의 농도는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과 호흡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현장 선상에서 시행된 북동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에서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측정실험 결과, 표층(0~60 m)과 저층(200~2000 m)에서 총알칼리도의 평균 농도는 각각 $2422.38{ mu}mol/kg$ (sd=78.73, n=20)과 $2465.87{ mu}mol/kg$ (sd=57.68, n=103)로 측정되었고, 표층과 저층저층의 총이산화탄소 평균 농도는 각각 $2134.47{ mu}mol/kg$ (sd=65.40, n=20)과 $2431.87{ mu}mol/kg$ (sd=65.02, n=103)으로 측정되었다. 총알칼리도와 총이산화탄소의 수직 분포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점차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측정된 농도 결과는 부근해역에서의 기존 연구결과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796468295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총알칼리도,총이산화탄소,탄산염 화학,Total alkalinity,Total carbon dioxide,Carbonate 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