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eparation and Corrosion Resistance of Polythiophene Film/Square Wave Oxide Layer of Stainless Stee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材料工程 = Journal of materials engineering
ISSN 1001-43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ANG, Cheng-hao,CHEN, Wan,HUANG, Nai-b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스펙트럼(infrared spectrum, IR spectrum),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원자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을 이용하여 304 스테인리스강 반송파 산화막(Square Wave Oxide Layer)/폴리티오펜 복합막(Polythiophene Film)을 표현하였으며 전기화학 실험법으로 복합막의 내식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반송파 불활성화를 거친 304 스테인리스강 반송파 산화막에 전착한 폴리시오펜(Polythiophene, PTH)을 통하여 304SS/산화막/PTH의 복합막을 제조하였는데 막층이 치밀하였다. 복합막의 PTH층 분자구조는 a-a 법칙으로 연결 되었으며 양호한 전기화학 가역산화환원(reversible electrochemical properties) 가능성이 있었다. 복합막의 전도율은 5~10 S/cm 범위내에 있었다. 304SS/PTH과 304SS/AV800/PTH, 304SS/AVl020/PTH 복합막의 계면의 접합강도(interfacial shear strength)는 각각 0.81, 4.98MPa 그리고 5.10MPa이었다. 1M H 2 SO 4 용액에서 내식성을 검측한 결과, 두가지 복합막의 부식 전위는 0.80V이동하였으며 304스테인리스강 매트릭스가 불활성화 상태를 보존하게 하였고 304스테인리스강 매트릭스의 양극 활성 융해를 억제하여 내식성을 높혀주었다. 비교하여 보면 304SS/AVl020 표면의 다공성과 PTH막 형성 다공 산화물의 수지함침층(Hybrid layer)으로 하여 304ss/AVl020/PTH 복합막의 전기화학, 전기학 및 계면접합 강도는 모두 304SS/AV800/PTH 복합막 보다 우월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01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304 stainless steel,electrochemical synthetic,polythiophene,composite film,corrosion resistance,304스테인리스강,전기화학 합성,폴리시오펜,복합막,내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