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에서는 산악형 국립공원 지역인 설악산, 지리산과 일반 산악지역인 경북 봉화 및 경남 거창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 영향인자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항공영상에서 산사태 피해지를 추출하고 GIS 기법으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공간 DB화하였다. 11개 인자를 공간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우도비를 이용하여 대상지별 산사태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악형 국립공원은 일반산지 지역보다 평균집수면적이 2배 이상 크고, 사면곡률은 복합적이고 오목한 형태, 영급은 7영급, 경급은 중대경목이 주로 분포하였다. 산악형 국립공원과 일반 산악지역의 산사태 발생영향도 비교를 위해 우도비를 분석한 결과 집수면적이 $2,000{ sim}10,000m^2$ 구간에서 일반 산악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면곡률은 오목한 구간이 높게 나타나 일반 산악지역에서 볼록한 구간이 높게 나타난 것과 대조를 이루었다. 영급은 4, 7영급, 경급은 대경목에서 우도비가 가장 높았으나 일반 산악지역은 2, 3영급, 소중경목에서 우도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일반 산악지역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