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Hong-cai,LI, San-zhong,LIU, Xin,SUO, Yan-hui,DAI, Li-ming,CHENG, Shi-xiu,XU, Li-qing |
초록 |
남중국해 북부(the Northern South China Sea) 육지 변두리 분지군에 분포되어 있는 Yinggehai 분지, Beibuwan 분지, Qiongdongnan 분지, 주장(Pearl River) 하구 분지, Taixi 남부 분지는 모두 복잡한 구조환경에 자리잡고 있으며 분지의 형성 및 진화는 주변의 지질학적 과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신생대 55Ma 이후 전형적 시기의 해양-육지 구조를 재현하였고 이 기초 위에서 남중국해 북부 육지 변두리 각 분지의 석유/가스 형성 법칙을 연구하였고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1) 태평양 판과 유라시아 판, 인도-호주 판과 유라시아 판의 상호작용은 석유가스의 형성에 다방면의 영향을 미친다. (2) 서쪽에서 부터 동쪽에 이르기 까지, Qiongdongnan 분지에서 주장 하구 분지에 이르기 까지 탄화수소근원암(hydrocarbon source rock) 시대는 상대적으로 노화되며 밑으로 점점 더 깊이 들어가는 경향을 보인바 이는 탄화수소 생성 가능성이 점점 커진다는 의미이다. 북쪽으로 부터 남쪽에 이르기 까지 Beibuwan 분지, 주장 하구 분지, Qiongdongnan 분지의 맨틀 평균 깊이는 점점 깊어지는 추세를 모였다. (3) Yinggehai 분지, Qiongdongnan 분지, 주장 하구 분지 남부지역이 천연가스 밀집지역이 된 원인은 이 지역의 구조적 활동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함몰 량이 작았으며 장기적인 침강속도가 느렸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각이 매우 얇고(모호면 깊이가 24km보다 작음) 지열 구배 및 열류량이 큰 요인은 탄화수소근원암 유기질 형성에 유리한 열적 진화를 대부분 성숙-고도 성숙 콘덴세이트(condensate) 및 습성가스 단계에 놓이게 하였다. (4) Qiongdongnan 분지와 주장 하구 분지에는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더더욱 크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Qiongdongnan 분지 및 주장 하구 분지 남부는 대량의 천연가스 매장지역인 반면 주장 하구 분지 북부는 석유개발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판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