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Jia, Peng,Xue, Min,Zhu, Xuan,Liu, Haiyan,Wu, Xiufeng,Wang, Jia,Zheng, Yinhua,Xu, Meina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8주 동안의 성장 실험을 통하여, 사료 내 메티오닌(methionine) 수준이 Carassius auratus gibelio 유어의 성장 능력, 체(body)의 조성(성분), 아미노산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어분(fish meal), 완두 단백질 농축물(pea protein concentrate), 분무 건조 혈액 분말(spray dried blood powder)을 단백질원으로, 저메티오닌(0.57%) 기초 사료를 설계하였으며, 기초 사료를 기반으로 0, 0.08%, 0.16%, 0.24%, 0.32%, 0.40%의 DL-메티오닌을 첨가하여, 메티오닌 함량이 각각 0.57%, 0.64%, 0.74%, 0.81%, 0.88%, 0.95%(건물질 기반의 실제 측정값)인 6가지 배합사료(조단백질:37.22%, 총 에너지:17.61 MJ/kg)를 제조하였다. 초기 체중이 2.60 g인 Carassius auratus gibelio 유어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처리군에는 3가지의 반복을 행하였으며, 각 반복실에 50마리 어류를 두었다. 실내 순환수 양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사료를 매일 4번 급여하였다. 실험 결과, 사료 내 DL-메티오닌 첨가로 인하여 Carassius auratus gibelio 유어의 특수 성장율(specific growth rate)과 단백질 축적율(P 각 처리군의 비만도, HSI(hepatopancreas somatic indices), 내장과 체중비(ratio of viscera and body weight)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메티오닌 수준은 어체 내 어분, 조지방, 에너지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 gt;0.05). DL-메티오닌 첨가로 인하여 어체 내 조단백질 함량은 향상하였으며, 회분(ash content)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P 사료 내 메티오닌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어체 내 메티오닌 축적율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P DL-메티오닌 첨가는 어체 내 기타 필요 아미노산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였다. 사료 내 시스틴(cystine) 수준이 0.42%일 때, 파선 회귀 분석(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과 메티오닌 축적율을 이용하여 얻은 Carassius auratus gibelio 유어의 메티오닌 수요량은 사료의 0.89%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단백질 사료의 2.17%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