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Si-an,CHI, Shu-yan,LIANG, Cai-qiang,XIE, Li-li,GUO, Shu-zhen,HE, Yan-jie,WANG, Wen-juan |
초록 |
본 논문은 사료 중 서로 다른 단백질 수준이 비교적 낮은 염분(20) 조건에서 양식한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평균 체질량이 0.35g)의 성장 성능과 혈액 생화학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해당 염분 조건에서 흰다리새우 사료 중 적합한 단백질 함량을 탐구하였다. 실험은 25%, 30%, 35%, 40%와 45%(질량분수) 5개 사료 단백질 수준을 설정하였으며 각각 CP25, CP30, CP35, CP40, CP45조로 표기하고 각 조에 3개 중복을 설정하였으며 각 중복에 40마리 새우를 넣었다. 실험은 300L 유리드럼통(Glass drums) 중에서 총 56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 흰다리새우의 체중증가율과 특정성장률은 사료 단백질 수준의 증가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CP40조 새우의 체중증가율과 특정성장률이 제일 높았고 CP35, CP40, CP45조의 체중증가율과 특정성장률은 CP25조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 lt;0.05). 흰다리새우 혈청의 총단백질(TP),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CHOL)과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TG) 함량은 사료 단백질 수준의 증가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CP35조 새우의 혈청 TP, CHOL와 TG 함량은 제일 높았고 CP35조 새우의 혈청 TP와 CHOL 함량은 CP25조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 lt;0.05). 흰다리새우 아가미의 Na + /K + -ATP 효소활성은 사료 단백질 수준의 증가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CP30, CP35조 새우 아가미의 Na + /K + -ATP 효소 활성이 제일 높았고 기타 3조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 lt;0.05). 사료 단백질 수준과 흰다리새우 체중증가율에 대한 2차 회귀분석결과, 염도가 20인 수체 중에서 양식한 흰다리새우가 제일 큰 체중증가율을 얻었을 때 사료 중 단백질의 적합한 함량은 39.74%임을 알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