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특집] 유기오염물질 배출 억제를 위한 환경친화형 보수재료 개발 방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建築 =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ISSN 1225-16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3-01-01
초록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부터 건축자재 등의 환경규제가 강화되어 건축자재의 성능평가시 오염물질 방출량에 따른 등급제도가 적용되고,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전면 금지될 예정이다. 이러한 오염물질 중 휘발성 유기오염물질 및 포름알데이히드 등은 일반자재뿐만 아니라 표면피복재, 접착제 등을 포함하여 유기성 용제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보수재료 등이 주된 방출원으로 거론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보고자료에 따르면 시너나 솔벤트 등을 사용하는 표면피복재료나 보수재료로부터 발생되는 휘발성 오염물질이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인 오존을 다량으로 생성해내고 있다는 보고도 있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약 36%가 이들 건축자재 분야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는 질소산화물(NOx)과 함께 오존을 발생시키는 2대 원인 물질로서 벤젠,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기용제나 세정제의 사용과정에서 주로 발생된다. 대기환경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술한 표면피복재료 및 보수재료 등의 건축자재 분야에서 배출되는 VOC가 연간 21만5천7백t으로 전체 발생량의 36%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은 유기용제계 화합물에 의해 발생되는 인체건강상의 장해항목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최근 일본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 화학물질에 의해 거주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시크하우스(Sick House)에 관한 개념이 확산되고 있으며, 사회적인 이슈로서 대두되고 있는 상황으로서 유해 화학물질의 제거방법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방출이 억제되는 친환경적 건축자재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이러한 유해 화학물질에 의해 사용자의 인명피해 사고가 자주 보고되고 있는 등 환경친화형 건축자재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보수재료의 현황과 최근의 환경친화형 보수재료 개발 동향을 검토함으로서 향후 국내에서의 유기오염물질 배출 억제를 위한 환경친화형 보수재료 기술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09529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