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 Shu-han,ZHANG, Wei-jia,WU, Xi,JIANG, Teng-fei,QIAO, Dai-rong,CAO, Yi |
초록 |
자연환경으로부터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높고 또 효소학, 에스테르 교환 특성이 우수한 리파아제(lipase) 생성 균주를 선별하였는데, 이는 리파아제 산업화 발효 생산 및 바이오디젤 제조 연구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로다민 B(rhodamine B)의 평판을 이용한 1차 선별과 쉐이크 플라스크 발효를 이용한 2차 선별법을 이용하여 70건의 유지가 풍부한 샘플로부터 활성이 비교적 높은 리파아제 생성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16S rRNA 감정을 진행하고 그 효소학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무용매 조건에서 다공성 수지 고정 효소를 촉매로 하여 올리브유(olive oil)로 바이오디젤을 제조하였으며 그 에스테르 교환 특성을 연구하였다. 결과, 리파아제 고생성 균주 WZ10-3을 선별하였으며, p-NPP 법을 통하여 그 초기 효소 활성이 78.68 U/mL임을 측정하였다. 16S rRNA 감정 결과, Burkholderia sp.에 속하였으며 B. stabilis와의 상동성이 99%에 도달하였다. 해당 균은 48시간 발효 후 효소 생성 최고조에 도달하였으며, 리파아제를 생성하는데 최적 적용 온도는 50℃, 최적 적용 pH는 7.0, 70℃에서의 반감기(half-life period)는 1시간에 달할 수 있으며 pH가 7-9일 때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대공성 수지 NKA-9와 HPD600을 벡터로 제조한 2가지 고정화 리파아제의 촉매 작용에 의해 올리브유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에스테르 교환율은 97%에 도달할 수 있다. 종합한 결과, 균주 WZ10-3 리파아제의 초기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대부분의 야생 리파아제에 비해 높았으며, 열 안정성은 양호하였고, 에스테르 교환 특성도 우수하였으며, 매우 좋고 지속적인 연구 가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