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은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 아세틸 자일란 에스터라제(acetyl xylan esterase)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생물정보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풀버섯 뉴클레오티드(nucleotide) 및 그 뉴클레오티드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조성 성분, 신호 펩티드(signal peptide), 막관통 도메인, 소수성(hydrophobicity)/친수성(hydrophilicity), 단백질 3차구조(tertiary protein structure) 등을 예측 및 분석하였으며, 또한 아세틸 자일란 에스터라제 단백질 패밀리의 계통수(phylogenetic tree)를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풀버섯의 AXE 단백질은 349개 아미노산 잔기(amino acid residue)로 조성되었고, 코딩하는 단백질의 분자량 37.55 ku, 등전점(isoelectric point) 8.58이었으며, 안정성 단백질에 속하였다. AXEII는 253개 아미노산으로 조성되었고, 코딩하는 단백질의 분자량 27.70 ku, 등전점 5.82였으며, 안정성 단백질에 속하였다. AXE와 AXEII는 모두 친수성 단백질이고, 신호 펩타이드가 존재하였으며, AXE와 AXEII의 잠재적 인산화 위치 총 개수는 각각 15개와 11개 였다. 풀버섯 AXE와 재먹물버섯(Coprinopsis cinerea)의 근연 관계가 비교적 가까웠고, AXEII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의 근연 관계가 비교적 가까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