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내 시설물중 악취발생이 심한 침사지 및 정화조시설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바이오필터를 적용시켜 근무자들의 악취물질 노출에 대한 작업환경개선 일환으로 그 처리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분석방법으로 복합악취는 공기희석관능법을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등의 황화합물은 GC/PFPD로 측정하였으며 암모니아는 UV-VIS 분광계를 이용하였다.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바이오필터 처리전 악취공기 평균희석배수는 침사지가 923 정화조시설 악취는 1,267이었다. 그리고 기기분석법으로 측정된 결과 유입되는 악취물질중 평균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침사지에서는 암모니아(5,100ppb)가 정화조에서는 황화수소(2,475ppb)로 나타났다. 폴리우레탄 media를 적용한 3 sec (EBCT, empty bed contact time) 이내의 체류시간으로도 94% 이상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하수처리시설 내 침사지 및 정화조시설에서 발생되어진 악취제거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바이오필터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