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 적: 바이오피드백은 정신생리연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정신생리장애 치료에도 유용하다. 만성통증은 매우 흔히 관찰되는 대표적 정신생리장애이다.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한 스트레스 반응 검사로 만성통증 환자와 정상인 간에 생리신호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 법: 만성통증 환자 42명(남자 17명, 여자 25명, 44.67 ${ pm}11.10$ 세)에게 치료 첫째 시간에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반응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정상인 42명(남자 17명, 여자 25명, 45.17 ${ pm}10.46$ 세)과 비교하였다. 스트레스 반응검사에서는 기저, 스트레스, 그리고 회복 상태에서 각각 전두근 근전도(frontalis electromyography), 피부전도(skin conductance), 피부체온(skin temperature)을 각각 2분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측정값들의 양 군간 비교에는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각 상태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test)로 분석하였다(양측검정, p $8.10{ pm}10.465.97{ mu}V$ vs $4.72{ pm}1.52{ mu}V$ , t=-3.56, p $11.25{ pm}6.89{ mu}V$ vs $8.49{ pm}4.78{ mu}V$ , t=-2.13, p $7.12{ pm}3.77{ mu}V$ vs $4.78{ pm}1.59{ mu}V$ , t= -3.70, p $1.06{ pm}1.0{ mu}S$ vs $0.42{ pm}0.29{ mu}S$ , t=-4.0. p $1.87{ pm}2.05{ mu}S$ vs $1.03{ pm}0.86{ mu}S$ , t=-2.47, p $1.74{ pm}1.77{ mu}S$ vs $0.64{ pm}0.59{ mu}S$ , t=-3.8,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