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cross-protective antigens from outer membrane proteins of three pathogenic vibrios isolated from infected larg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croce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Zhang, Chongwen,Mao, Zhijuan,Yu, Li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비브리오(Vibrios)는 해수양식 환경에서 흔히 보는 조건적 병원균이다. 비브리오의 폭증은 수산양식업에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 수생동물 특히 어류에서의 비브리오병은 흔히 여러 종의 비브리오가 혼합하여 감염되는 것을 감안하여 잠재적인 교차 방어 단백질 면역원(potential cross-protective protein antigens)을 선별하여 다가 백신 혹은 혼합 백신(polyvalent or combined vaccines)의 후보 성분으로 삶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병든 부세(infected large yellow croaker)에서 8그루의 비브리오를 얻고 생리 생화학과 분자 생물학으로 검증한 결과 각각 6그루(plants)의 비브리오 하베아이(Vibrio harveyi), 한 그루의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와 한 그루의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이다. 서로 다른 종에서 전형적인 비브리오를 선택하여 외막 단백질을 추출하고 SDS PAGE와 단백질 흡인법(Western blotting) 분석을 거쳐 약 45kDa, 35kDa, 22kDa 지점에서 3개의 공동한 면역이적(immuno-blots)이 나타남을 증명하였으며 이는 그들 사이에 공동으로 상호 교차 방어 할 수 있는 면역원이 있음을 말해준다. 2차원 전기 이동과 면역이적(immunoblotting)을 결합하는 방법과 MALDI-TOF-MS 질량 분석 기술로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에 기능이 불분명한 포린(Porin, GenBank Accession No. ZP_01260407)과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에 말토스 포린의 전구 단백질(Maltoporin precursor, GenBank Accession No. NP_801154)은 비브리오 하베아이의 다클론성 항체와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두 가지 단백질이 3가지 비브리오의 교차 방어 항원으로 될 수 있으며 이 기초에 의해 제조된 백신은 3가지 비브리오의 감염에 교차 방어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583324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Vibrios,identification,outer membrane protein,cross-protective protein antigens,비브리오,감정,외막 단백질,교차 방어 면역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