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tical distribution of bacterial community in sediments of freshwater lake Puma Yumco and saline lake AWongco on the Tibetan Plateau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
ISSN | 0253-2654, |
ISBN |
저자(한글) | SHI, Yu,SUN, Huai-bo,LIU, Yong-qin,HOU, Ju-zhi,ZHU, Li-ping,CHU, Hai-y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목적] 호수 침전물 중에는 대량의 독특한 미생물을 저장하며 이런 미생물은 호수 생태계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cycle)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호수 침전물 중에 미생물 군집의 수직 분포를 매우 적게 보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칭짱고원(Tibetan Plateau) 담수호 Puma Yumco 및 염호 AWongco 침전물의 서로 다른 심도에서의 세균 풍부도 및 군집 구조를 비교하고 연구한다. [기법] 정량 PCR(qPCR) 및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denaturant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기술을 이용하여 세균 군집의 풍부도와 군집 구조를 각각 측정한다. [결과] 정량 PCR 결과, 호수 침전물 중에 세균 풍부도는 심도의 증가와 더불어 내려갔으며 염호 AWongco와 담수호 Puma Yumco의 세균 풍부도는 각각 10 11 수량급에서 10 8 수량급까지 줄었고 10 12 수량급에서 10 10 수량급까지 내려갔다. 대응된 침전물층에서 담수호 침전물의 세균 풍부도는 염호보다 1~2개 수량급 높았다.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DGGE) 지문 지도(fingerprint)의 분석 결과, 담수호 침전물 세균 군집의 DGGE 밴드 수량(풍부도)은 염호보다 뚜렷하게 높았다(P=0.014). 그리고 담수호와 염호 침전물의 세균 군집 구조는 명확하게 달랐으며 같은 호수 침전물 중에는 위층(0~6 cm)과 하층(7~20 cm)의 세균 군집 구조는 현전한 차이로 나타났다. 계통발생 분석 결과, 염호 AWongco 침전물의 독특한 세균 문(phylum)은 Gamma-proteobacteria, Bacteroidetes, Deinococcus-Thermus 및 Cyanobacteria이었으나, 담수호 Puma Yumco 침전물의 독특한 세균 문은 Delta-와 Beta-proteobactria, Acidobacteria와 Chloroflexi이었다. [결론] 칭짱고원 담수호와 염호 침전물의 세균 풍부도와 군집 구조는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세균 군집 구조는 침전물의 다양한 심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런 결과는 칭짱고원 호수 생태계 중에서 미생물의 기후 환경 변화에 대한 응답을 한층 더 설명하는데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25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Real time PCR,DGGE,Tibetan Plateau,Lake sediment,Bacterial community,Vertical distribution,실시간 정량 PCR,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칭짱고원,호수 침전물,세균 군집,수직 분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