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ome Amino Acid Residues on L78 Affect Ca2+ Transport of SERCA1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Guo-li,DAIHO, Takashi,YAMASAKI, Kazuo,DANKO, Stefania,WANG, Biao,SU, Wen-hui,SUZUKI, Hirosh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Ca 2+ 를 근소포체에 관통시키는 ATP 효소인 SERCA1a는 ATP를 가수분해함과 동시에 Ca 2+ 를 낮은 농도 세포질로부터 높은 농도 근소포체로 운반하며 수축 상태 골격근 세포의 이완을 유도한다. 현재 SERCA1a 구조 및 기능과 관련한 연구는 기타 P형 이온 운반 ATP 효소에 대한 연구에 비해 앞섰다. SERCA1a 막통과 나선(transmembrane helix) M7 및 M8의 막 내측 링크부 Linker78(L78)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L78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 돌연변이가 SERCA1a 반응사이클(reaction cycl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G864A를 제외한 나머지 돌연변이체 모두 Ca 2+ 운반 속도를 다양하게 낮추는 것을 발견하였다. G862 또는 P863의 아미노산 잔기 돌연변이는 SERCA1a의 ATP 효소 활성의 뚜렷한 감소 또는 소실을 유발하였다. 또한 ATP 또는 무기인산 Pi로 인해 생성되는 인산화 효소 중간체 EP 함량의 뚜렷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A893의 P로의 대체가 SERCA1a에 미치는 영향은 G862/P863의 돌연변이와 흡사하였다. 야생형 SERCA1a와 비교하여, G864A 및 FMQ873-875 단일 돌연변이체의 ATP 효소 활성 및 EP 생성량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M7 및 M8 막 내측 링크부 L78은 막통과 부위에서 나타나는 Ca 2+ 운반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GPG862-864 부위 및 A893 부근에서 L78의 정확한 회전(turn)은 세포질 도메인 P의 인산화에 조절 작용을 하며 그 작용은 먼거리에서 일어나는 핵심적 작용이다. 이는 L78의 구조 및 유연성은 구조형태가 정상적인 SERCA1a의 주기적 변화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2802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type ATPase,calcium ATPase,SERCA,site-directed mutagenesis,reaction cycle,P형 ATP 효소,칼슘 이온 ATP 효소,SERCA,위치 지정 돌연변이 유발,반응 사이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