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heoratical Study for Effect of Cicada Wing Surfaces on Bacterial Cell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物理學報 = Acta biophysica sinica |
ISSN | 1000-6737, |
ISBN |
저자(한글) | XUE, Fu-dong,LIU, Jun-jie,GUO, Long-fang,LI, Qian-zh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실험 연구를 통하여, Psaltoda claripennis 날개 표면의 특수한 나노 구조로 그 표면에 부착된 일부 세균을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해당 살균과정은 완전한 물리반응으로 그 어떤 화학반응과도 연관이 없다. 매미 날개의 해당 특수한 항균 능력은 새로운 항균 재료를 연구 개발하는데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미 날개 표면의 나노구조가 세균 세포벽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일종 세균의 세포벽이 매미 날개 표면의 기계적 파열 메커니즘에서 일으키는 작용을 해석할 수 있는 탄성 역학 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 내에서 세균 세포벽의 신장성으로 매미 날개 표면의 나노구조가 세균의 세포벽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람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과 그람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 세포벽의 매미 날개 표면에서의 신장성(stretching)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매미 날개 표면의 나노구조에서 발생한 다양한 강도별 세균 세포벽의 신장 변형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절대 대부분 그람음성균의 세포벽 신장성은 그 수용 능력을 초과하므로 기계적 파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73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ntibacterial,Nanostructure,Catenary,Elastic mechanics,항균성,나노구조,현수선,탄성 역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