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UO, Chao,LIU, Hong,CHEN, Xin-hong,ZHANG, Jun,ZHAO, Ji-xin,WANG, Liang-ming |
초록 |
본 논문은 67건 미국 밀(wheat) 재료의 유전적 다양성(genetic diversity) 및 그 글리아딘(gliadin) 서브유닛(subunit)이 품질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산성 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영동(aci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PAGE) 기술로 글리아딘 밴드를 분석하였으며, 밀가루 반죽(dough)의 유변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품질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67건 재료에서 모두 1,332 가닥의 밴드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밴드는 49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이동성(mobility) 밴드였으며, 대부분 밴드는 다양성이 있었다. 1건 재료의 밴드 총 수량 변화 범위는 13~28이었다. 밴드 개수가 α? β? γ? ω 등 4가지 지역에서 분포는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전기영동 밴드가 완전히 일치한 재료는 없었다. GS 값 변화 범위는 0.54~0.90이고, 평균값은 0.731이었다. GS=0.607인 조건에서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여 67건 재료를 6가지 종류로 나누었다. 49가닥의 서로 다른 이동성 밴드 가운데서 17가닥 밴드는 36가지 품질 형질과의 관련성이 뚜렷하거나 혹은 아주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6가닥 밴드(이동율 각각 49.6, 56.2, 56.7, 62.2, 79.4, 86.8)와 글루텐(gluten) 함량, 단백질 함량과 침전량은 정(+) 상관관계였지만 이동율이 60.5인 밴드와 부(-) 상관관계였다. 11가닥 밴드(이동율 각각 26.5, 42.0, 49.6, 52.5, 56.2, 56.7, 62.2, 64.1, 72.0, 79.4, 86.8)와 밀가루 반죽이 안정되는 시간, 밀가루 반죽이 형성되는 시간, 밀가루 반죽의 인장 면적(extended area) 등 밀가루 반죽의 유변학적 특성은 정(+) 상관관계였지만 이동율이 34.4, 47.5, 49.0, 60.5, 69.4, 85.4인 6가닥 밴드는 상술한 유변학적 특성과 부(-) 상관관계였다. 연구 결과, 실험용 재료 사이에는 풍부한 유전학적 다양성 및 우량 품질 관련 밴드가 존재하였다. 이것은 67건 유전자원의 심층적 이용 및 우량 밀 품종 선택 육종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