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이동이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의학물리 =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
ISSN | 1226-5829, |
ISBN |
저자(한글) | 김경민,김영진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96-01-01 |
초록 | 정상조직과 지방조직의 화학적 결합의 차이는 화학적 이동 artifact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화학적 이동으로 생긴 결과는 주로 공명신호 위치의 부정확으로 나타나지만 횡적완화시간의 변화도 일으키게 된다. 물분자 수소원자핵의 횡적완화시간 T $_2$ 과 지방분자 수소원자핵의 횡적완화시간 T $_{2}$ $^{*}$ 를 신호대 잡음비, 신호응답도, 그리고 영상시간에 각각 넣어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응답도는 각각 약 5%와 8%가 감소하였고, 영상시간은 약 10% 가량 증가하였다. 따라서, 화학적 이동은 영상의 왜곡 외에도 영상과정의 효율을 저하시킴을 알았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61192194900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