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안정동위원소 및 Diving-PAM을 이용한 남서해안 만호해역 (진도-해남) 김 양식장에서의 일차 생산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ISSN 1226-999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정배,이원찬,김형철,홍석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김 양식을 하고 있는 해역의 물리 화학적인 해양환경 특성, 식물플랑크톤 색소 조성과 농도, 식물플랑크톤 및 방사무늬김의 일차 생산력을 2014년 3월에 김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호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수온은 $9.1{ sim}9.6^{ circ}C$ , 염분은 32.5~33.1이었고, 투명도는 높은 탁도로 인하여 유광층이 낮아져 0.7~1.5 m를 보였다. 수층의 용존 무기질소, 용존 무기인 및 규산 규소 각각의 농도는 $3.59{ sim}5.73{ mu}M$ , $0.16{ sim}0.41{ mu}M$ , $12.41{ sim}13.94{ mu}M$ 이었다. 클로로필 a 농도는 $0.51{ sim}1.25{ mu}g ;L^{-1}$ 이었고, $0.7{ sim}20{ mu}m$ 범위의 nanoplankton의 클로로필 a 농도가 58%를 차지하였다. 규조류의 marker 색소인 fucoxanthin의 농도는 $0.51{ sim}1.25{ mu}g ;L^{-1}$ 로서 전 정점에서 높은 값이었고, $20{ sim}200{ mu}m$ 범위의 fucoxanthin이 64%를 차지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 생산력은 $57.72{ pm}4.67(51.05{ sim}66.71)mg ;C ;m^{-2} ;d^{-1}$ 이었고, $0.7{ sim}20{ mu}m$ 범위의 nanoplankton이 76.9%를 차지하였으며, 면적을 고려한 일차 생산력은 $11,337kg ;C ;d^{-1}$ 이었다. 방사무늬김에 의한 평균 일차 생산력은 $1,926{ pm}192(1,102{ sim}2,597)mg ;C ;m^{-2}d^{-1}$ 이었고, 면적을 고려한 일차 생산력은 $39,295kg ;C ;d^{-1}$ 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방사무늬김에 의한 일차 생산력을 토대로 계산된 만호해역의 일차 생산력은 $50,632kg ;C ;d^{-1}$ 로 나타났다. 만호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 생산력이 다른 해역보다 낮고, 김의 일차 생산력이 식물플랑크톤의 일차 생산력보다 약 3.5배 높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37530202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able isotope,diving-PAM,primary productvity,Pyropia yezoensis,Manho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