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쑥 (Artemisia princeps P.)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대사장애 및 아디포카인 조절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ISSN 2288-3886,2288-395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윤혜,박충무,윤군애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와 쑥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인슐린저항성, 아디포카인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부고환지방과 복막후강지방의 축적이 증가되었고, 그 결과 혈장 항염증성 아디포카인은 감소하고 염증성 아디포카인은 증가하여 아디포넥틴/렙틴 및 아디포넥틴/PAI-1 비가 저하되는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내장지방 축적과 관련된 아디포카인의 불균형은 TG, TG/HDL-C, TC/HDL-C를 증가시키고 HOMA-IR의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쑥 에탄올추출물의 첨가는 부고환지방과 복막후강지방의 축적을 완화함으로써 PAI-1과 렙틴을 감소시켜 아디포넥틴/렙틴 및 아디포넥틴/PAI-1 비의 저하를 억제하고 아디포카인의 균형을 상대적으로 유지하였으며, TG, TG/HDL-C, TC/HDL-C 및 HOMA-IR 수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쑥 에탄올추출물은 내장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아디포카인의 분비, 특히 염증성물질인 렙틴과 PAI-1의 분비를 저하시켜 아디포카인의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지질대사 및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02353521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ugwort (Artemisia princeps P.),lipid metabolism,insulin resistance,adipok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