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gulatory Effects of Nitrogen Nutrient and 6-BA on Winter Wheat Suffered Post-anthesis Waterlogg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Jindong,Li, Jincai,Wei, Fengzhen,Wang, Chengyu,Zhang, Yi,Wu, Wen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침수(water logging)은 황허-화이허(Huanghe River-Huaihe River) 남부 밀의 재배 지역과 창장(Changjing River) 중하류 지역 가을밀 생육 후기의 주요한 기상 재해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밀 품종인 '옌눙(Yannong) 19'를 재료로 하고 분할구 배치법(split block design)으로 질소 비료와 6-BA가 개화 후 가을밀 침수 저항성에 대한 조절 작용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1) 개화 후 침수 재해는 가을밀의 근계 활성, 총 흡수 면적, 활성 흡수 면적, 지엽(flag leaf)의 엽록소 함량, 지엽의 순 광합성 속도를 뚜렷이 감소하며 수립수(grains per panicle), 천립중(thousand-grain weight)과 낱알 생산량도 아주 뚜렷이 감소하였으나 이삭 수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침수 후 잎몸에 분무한 질소 비료 +6-BA, 질소 비료, 6-BA는 모두 가을철 밀의 침수 저항성을 강화하며 그 근계 활성은 각각 18.7%, 14.6%, 12.0%, 근계의 총 흡수 면적은 각각 31.9%, 22.1%, 19.6%, 근계 활성 흡수 면적은 각각 32.5%, 21.7%, 18.1% 증가하였다. 또 엽록소 함량은 각각 16.2%, 9.4%, 10.3%, 순수 광합성 속도는 각각 32.6%, 23.3%, 23.3%, 수립수는 각각 13.8%, 9.3%, 8.5% 증가하였으며 천립중은 각각 17.3%, 11.5%, 10.5%, 낱알 생산량은 각각 35.9%, 23.5%, 20.9%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 질소 비료와 6-BA의 상호 작용이 뚜렷하였으며 개화 후 질소 비료와 6-BA를 함께 분무하는 것은 밀이 받는 침수 손상을 완화하는데 아주 좋은 효과가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58731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itrogen nutrient,6-BA,post-anthesis waterlogging,winter wheat,waterlogging resistance,질소 비료,6-BA,개화 후 침수,가을밀,침수 저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