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Zhen,HE, Li-min,MA, Lei,LI, Jin-long,XU, Xiao-ling,GAO, Ji-min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목적: 스트렙트아비딘으로 표시된 인터류킨 7(streptavidin-tagged interleukin-7, SA-IL-7) 융합 단백질(fusion protein)을 제조한 후 생쥐 표피성 방광암(superficial bladder cancer)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pET24a-SA-IL-7 다시 조합해 플라스미드(recombinant plasmid)를 합성한 후 SA-IL-7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으로 SA-IL-7 융합 단백질과 비오틴화 방광암 세포(biotinylated bladder cancer) MB49의 결합을 검사하였으며, 또한 흉선세포 증식법(thymocyte proliferation assay)으로 SA-IL-7 융합 단백질이 흉선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생물학 활성(bioactivity)을 검사하였다. 그리고 생쥐 표피성 방광암 모델을 이용하여 방광에 SA-IL-7를 주입하고 세척하여 방광암 치료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생쥐의 생애 주기(life cycle)를 관찰하였고, 면역조직 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assay)으로 각 그룹 생쥐 종양이 CD8 + T 세포에 대한 침윤(infiltration) 작용을 검사하였다. 결과: 성공적으로 제조한 SA-IL-7 융합 단백질을 비오틴화 MB49 세포 표면과 결합시킨 결과, 결합률은 (96.6±1.3)%에 달하였다. 그리고 SA-IL-7 융합 단백질은 흉선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SA-IL-7 융합 단백질은 생쥐 비오틴화 방광 점막(bladder mucosa) 표면에 7일 이상 결합되어 있을 수 있었고, 비오틴화 되지 않은 방광 점막에서는 IL-7가 검출되지 않았다. 생쥐 표피성 방광암 모델에 MB49 세포를 접종한 후 80일 되었을 때 IL-7 주입 치료를 한 그룹의 생쥐는 90% 죽었지만 SA-IL-7 주입 치료를 한 그룹의 생쥐는 60% 생존하였으며, 또한 종양이 생성되지 않았다(P lt;0.05). 그리고 SA-IL-7 주입 치료를 한 그룹 생쥐의 종양조직에서 침윤된 CD8 + T 세포는 뚜렷하게 증가되었다(P lt;0.01). SA-IL-7로 치료한 15마리의 표피성 방광암 모델 생쥐에서 11마리는 방광내 MB49 세포의 이차 접종에 저항할 수 있었으며, 대조군 중 15마리 생쥐는 오직 1마리만 생존하였다(P lt;0.01). 결론: SA-IL-7 융합 단백질을 방광내에 주입하여 세척하면 항종양 면역 반응을 생성시킬 수 있었고, 또한 뚜렷한 치료 효과가 있었다. 이 방법은 표피성 방광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188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