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G, Sheng-long,HUA, Cheng-jun,JIN, Shao-fei,FAN, Xiu-mei,ZHANG, Sheng-mao,WU, Yu-mei |
초록 |
인도양 열대 해역의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연승(longline) 포획에 적합한 어획 수온 등온선의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황다랑어에 적합한 수직 및 수평 공간 분포 범위를 분석하였다. Argo 부표 단면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도양 열대 해역의 16°C와 해양 표층 수온과 8°C 차이가 나는(Δ8°C) 월평균 등온선을 재구축하고, 16°C와 Δ8°C 등온선의 수심값과 하부경계 수심(lower boundary depth)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또한, 인도양참치위원회(IOTC)의 황다랑어 연승 포획 어업 데이터를 결합하여 16°C와 Δ8°C 등온선 수심과 월평균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 per unit effort, CPUE)의 공간 중첩도를 제작하고 열대 인도양 황다랑어 중심 어장의 CPUE 시공간적 분포와 높은 어획률 등온선의 시공간적 분포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높은 값의 CPUE 분포는 현저한 계절적 변화를 나타냈다. 16°C 등온선의 동북 계절풍 기간에 높은 값 CPUE가 나타나는 구역의 수심값은 대부분 200m 이하였다. 서남 계절풍 기간에 15°~25°S 수심은 250m에 달했고, 130~190m 수심에는 일년 내내 높은 값의 CPUE가 집중되었으며, 수심이 300m 이상인 구역의 CPUE는 전반적으로 비교적 작았다. Δ8°C 등온선의 높은 값 CPUE가 나타나는 구역의 수심값은 대부분 175m 이하이고, 주로 100~170m에 집중되었다. 서남 계절풍 기간에 15°S 남쪽 구역의 150~300m 수심에서도 높은 값 CPUE 구역이 나타났으며, 연간 수심이 300m 이상인 구역의 CPUE는 전반적으로 비교적 작았다. 15°S 북쪽 위도 방향 구역에서, 일년 내내 높은 어획률의 수직 분포 수심은 더욱 집중되었고, 서남 계절풍 기간에 특히 현저하게 나타났다. 빈도 분석과 경험누적 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최적 차표층 환경인자 분포를 계산한 결과, 16°C 등온선은 120~209m이고, Δ8°C 등온선은 80~159m이었다. 하부경계 수심의 차이는 16°C 등온선은 0~59m이고, 해표층 아래 8°C 등온선은 50~119m이었다. 본 연구는 열대 인도양의 황다랑어 중심 어장에 적합한 수평, 수직 수심값의 분포 구간을 초보적으로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심 어장의 위치를 찾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고, 포획 수심을 알려 주어 열대 인도양 황다랑어의 실제 생산 작업과 자원 관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