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Mimi,Shu, Pu,Zhou, Yifeng,Guo, Jianlin,Sun, Xiaoqin,Hang, Yueyu |
초록 |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중국의 디스코리아속(Dioscorea) 7조 31종 1아종 2변종 식물의 잎 외피(epidermis) 세포, 잎 외피 분비모(trichome), 기공 장치 유형, 기공 크기, 기공 무늬 등 잎 외피의 미세 구조 특성에 대하여 관찰 및 비교 연구하였으며 디스코리아속 종 사이의 분류를 확정하고 계통 발육학을 연구하는데 근거를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중국 디스코리아속 각 그룹 사이에서 잎 외피모, 잎 외피 세포와 기공 등 미세 구조 형태의 특성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 그룹 사이의 특이성 법칙도 일정하게 보였다. 예를 들면, 4~6각형의 잎 외피 세포, 뿌리 줄기 그룹 식물 특유의 기공 주위 배사벽 형태; T 타입 분비모 그룹의 잎맥과 잎몸 세포에는 대량의 2X T형 표피모가 분포된 것; 겹잎 그룹의 잎맥과 잎몸 세포가 밀접하여 있는 외피 분비모를 가지고 있는 것; Dioscorea Sect. Opsophyton과 마절(Sect.Enantiophyllum)의 기공 장치 유형이 연쇄형을 파생한 것 등 법칙과 기공 회전방향이 여러 그룹에서 뚜렷하게 분화되었고 T형 분비모 그룹, 마(Dioscorea hispida Dennst) 그룹과 마절[도꼬로마(Dioscorea decipiens Hook. f.)는 제외]에서는 왼쪽으로 회전하였으며 Dioscorea Sect. Shannicorea, Dioscorea Sect. Opsophyton과 겹잎 그룹에서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였다. 연구 결과, 잎 외피 미세 구조 특성은 디스코리아속에서 안정하게 진화하였으며 중국 디스코리아속을 분류 및 감정하는데 근거로 될 수 있다. 또 이에 따라 디스코리아속 중의 Dioscorea Sect. Shannicorea와 마절이 진화하였고 뿌리 및 줄기그룹은 디스코리아속의 분화중심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디스코리아속에서 논쟁이 존재하는 종으로는: Dioscorea zingiberensis wright, DioscoreaparvifloraC .T .Ting, 부채마(Dioscorea nipponica), Dioscorea nipponica Makino var.rosthani Prain et Burk.와 Dioscorea simulans Prain et Burkill, Dioscorea decipiens Hook. f., Dioscorea hispida Dennst. 등 이 있었는데 이러한 종에 대해서도 분류 범위를 정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