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tein expression patterns identify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ascomatal hairs in two species of genus Chaetomiu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UN, Qin,LIU, Xiaoyong,WANG, Qian,LUO, Yuanming,WANG, Xue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목적 : 케토미움(Chaetomium) 진균의 자낭과모 형태(Morphology of ascomatal hairs)는 하나의 중요한 분류 성상이었지만 쉽게 변이가 발생하기에 현재 케토미움 분류에서 그들의 분류학적 가치는 하나의 의문점이다. Chaetomium indicum과 Chaetomium funicola는 자낭과모 형태적 차이에 의하여 정의를 내린 종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발현 패턴 수준에서 이 두가지 종의 차이 및 그 변동성을 연구하고 동시에 단백질 발현 패턴이 진균 분류에서의 응용 가치를 토의하였다. 기법 : 형태학적 관찰을 통하여 Chaetomium indicum과 Chaetomium funicola의 대표적 균주와 자낭과모 형태학적 변이 균주를 얻고 2차원 전기영동기술로 그 대표적 균주와 변이 균주의 단백질 발현 패턴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결과 : 2차원 전기영동(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스펙트럼 특성에 따라 Chaetomium indicum과 Chaetomium funicola 사이의 단백질 발현 패턴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반영하였다. 또 Neighbor-joining(NJ) 연산법에 따라 형성된 계통 발생론적 나무를 보면 Chaetomium indicum과 Chaetomium funicola는 각각 2가지 다른 가지에 있다는 것, 즉 동일한 대표적 균주와 변이균주가 함께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 : 자낭과모 형태학적 특징과 종의 특이성에 따른 단백질 발현 패턴 특성이 Chaetomium indicum과 Chaetomium funicola에 대한 분류 결과는 일치하였으며 이는 자낭과모 특징은 여전히 케토미움 진균 분류에서의 하나의 중요한 지표라는 것을 나타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3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protein expression pattern,Chaetomium,taxonomy,2차원 전기 영동,단백질 발현 패턴,케토미움,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