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대장암 환자에서 나선식 CT 검사시 횡단면 영상뿐만 아니라 바륨 대장조영영상과 유사한 삼차원 영상의 CT 대장조영영상(colonogram)을 얻을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관내 조영제로 공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대장암 환자에서 공기주입 나선식 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공기주입 나선식 CT 검사를 한 후 수술로 확진된 대장암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검사직전 항문을 통하여 적당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횡단면으로 나선식 CT 영상을 얻었다. 이중 CT 검사 전 바륨 대장조영술을 시행한 11예에서 CT 대장조영영상을 함께얻었다.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합의하에 횡단면 CT 영상에서 병변의 위치와 발견율을 결정하고 변형Dukes(Astler-Coller)분류를 기초로 병기 결정을 하여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비교하였다. 또한 CT 대장조영영상에서 병변의 발견율을 알아보았다. 결과: 횡단면 CT 영상에서 대장암의 병변의 발견은 33예중 32예로 97%에서 가능하였다. 전체적인 병기결정의 정확도는 23예에서 병리학적 소견과 일치하여 70%의 정확도를 보였다. 병기결정에서 CT와 병리학적 장막 침윤정도에서 일치하였던 예는 30예, 과대 평가되었던 예는 3예, 과소 평가 되었던 예는 없어, 예민도 100%, 특이도 50%, 정확도 91%를 보였다. 림프절침범은 CT와 병리학적 병기가 일치하였던 예는 25예, 과대 평가 되었던 예는 4예, 과소 평가되었던 예는 4예로 예민도 69%,특이도 80%,정확도 76%였다. CT 대장조영술 영상에서 병변의 발견은 11예 모두 (100%)에서 가능하였고, 병변의 위치도 바륨 대장조영술과 비교하여 모든 예 (100%)에서 일치하였으나 병변의 모양은 1예를 제외한 91%에서 일치하였다. 결론: 공기주입 나선식 CT는 양성조영제를 사용하는 것 보다 대장암을 발견하고 병기 결정하는데 우수하였고, 바륨 대장조영영상과 유사한 CT 대장조영영상을 얻을 수 있어 대장암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삼차원적으로 제공하므로 대장암의 성상을 정확히 알 수 있는데 도움을 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