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협측 공간 병변의 CT와 MR 영상소견에 기초한 새로운 분류법을 소개하고, 협측 공간 병변의 감별진단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조직병리학적 또는 임상적으로 진단된 62예의 협측 공간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병변은 그 형태학적 모양과 주변 공간으로의 침범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형으로 분류하였다. 협측 공간에 국한되어 있고 명확한 경계를 가진 경우를 1형, 협측 공간에 국한되어 있고 불명확한 경계를 가진 경우를 2형, 그리고 여러 공간을 동시에 침범한 경우를 3형으로 하였다. 결과: 다형성선종,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B-cell 임파선암, 세엽세포암종, 횡문근육종, 사구종양, 사기질모세포종은 1형으로 분류되었고,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감별은 불가능하였다. 농양, 감염이 동반된 유피낭종, Kimura 병, 선낭종암은 2형으로 분류되었다. T-cell 임파선암, 신경섬유종, 혈관기형, 두경부 염증, 이물육아종은 3형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은 다른 영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CT와 MR 영상소견에 기초한 이 새로운 분류법은 협측 공간 병변의 감별진단에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