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협측 공간 병변: CT와MR영상소견에 기초한 새로운 분류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ISSN 0301-286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한문희,한문희,제환준,최혁재,김영준,김인원,장기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목적: 협측 공간 병변의 CT와 MR 영상소견에 기초한 새로운 분류법을 소개하고, 협측 공간 병변의 감별진단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조직병리학적 또는 임상적으로 진단된 62예의 협측 공간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병변은 그 형태학적 모양과 주변 공간으로의 침범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형으로 분류하였다. 협측 공간에 국한되어 있고 명확한 경계를 가진 경우를 1형, 협측 공간에 국한되어 있고 불명확한 경계를 가진 경우를 2형, 그리고 여러 공간을 동시에 침범한 경우를 3형으로 하였다. 결과: 다형성선종,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B-cell 임파선암, 세엽세포암종, 횡문근육종, 사구종양, 사기질모세포종은 1형으로 분류되었고,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감별은 불가능하였다. 농양, 감염이 동반된 유피낭종, Kimura 병, 선낭종암은 2형으로 분류되었다. T-cell 임파선암, 신경섬유종, 혈관기형, 두경부 염증, 이물육아종은 3형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은 다른 영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CT와 MR 영상소견에 기초한 이 새로운 분류법은 협측 공간 병변의 감별진단에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4006202597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mputed tomography (CT),Magnetic Resonance (MR),Bucc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