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천부경 '大三合六'의 우주론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仙道文化= Journal of Korean Sundo culture
ISSN 1975-581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8-01-01
초록 천부경 해석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곳은 경문 81자 중에 바로 '大三合六'이다. 특히 六은 9*9배열 중에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의 生七八九로 이어지는 중간역할을 하고 있다는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필자는 천부경의 6이 어떻게 나왔으며, 그 6이 어떻게 1과 결합하여 1.6을 이루었나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大三合六에서 生七八九가 어떻게 나왔는가 하는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신지 篆字에 주목하였다. 필자의 결론은 6은 오행수(5+1)에서 나온 것이 아니고, 삼재수(3+3)에서 나왔다는 것이며, 7도 2+5=7이 아니고, 3+4=7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6은 삼재를 음양으로 결합하고 있다는 면에서 오행의 6이 나오기 이전의 원초적 의식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고, 또 從前의 천지 중심의 우주관과 다른 天地人 중심의 새로운 '우주관'을 함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천부경의 1ㆍ6 數사상은 小宇宙인 인간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는 면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인체 구조에서 3극의 점을 찾아낸다면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이라 할 수 있다. 이 3단전은 인체의 전면부를 지칭한 것이다. 이 3단전을 대삼합륙의 이치로 재해석하면, 음양과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인체의 전후면부에서 서로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으로, 이는 수행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246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천부경,대삼합륙,천지인,Cheonbugyeong,Daesamhapryuk(大三合六),the combination of the Three Disasters,Chun,Ji,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