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Ji-min,LIU, Shuang,YIN, Wei-han,YANG, Jian-qiang,YE, Shu-feng |
초록 |
종합 수용력 관련 연구를 추진하기 위하여 ldquo;압력-상태-반응 rdquo; (pressure-state-response, PSR) 모형을 이용한 황허 하구(Yellow River Estuary) 지역의 종합 수용력 평가 지표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종합지수법을 사용하여 2007-2009년 황허 하구 지역의 수용력 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07-2009년 사이 황허 하구 지역의 종합 수용력 지수는 0.44~0.52이었으며, 수용한계에 달하였다. 그 중 2007년에 받은 압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로 해수 양식 면적이 비교적 크고, 해안선 이용 정도가 과도함으로 인해 나타난 것이다. 상태 지수는 0.43~0.51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양환경 질량이 비교적 낮고 해역 오염 면적 비율이 높으며, 부영양화(eutrophication)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반응 지수는 0.39~0.54이며, 이는 인류가 황허강 하구 지역의 압력 및 상태에 대하여 일정한 반응 조치를 취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반응 조치의 효과는 그리 이상적이지 못하였다. 주로 과학 기술 혁신 능력이 낮고 환경 보호 지출 및 기초 시설 지출이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허 하구 지역의 종합 수용력을 높이기 위해 해수 양식 규모 조절, 자연 해안선의 이용 감소, 해역의 무기물 오염 방지, 과학 기술 혁신 능력의 제고와 환경 보호 및 기초 시설의 투입 증가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