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 Yi,PENG, Jin-ju,CHEN, Jin-jun,WANG, Yun,CHEN, Fa-lin,SUN, Yong-xue |
초록 |
환경 중 잔류된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이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BIOLOG법을 이용하여 노르플록사신이 작용하는 토양미생물의 탄소원 이용과 그 대사 기능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약물을 사용한 7일, 21일, 35일째에 사용 그룹(노르플록사신 함량이 1 mu;g g -1 , 10 mu;g g -1 , 100 mu;g g -1 ) BIOLOG의 미소 평판 AWCD(Average well color development)는 모두 대조 그룹보다 낮았고, 7일째 1 mu;g g -1 , 10 mu;g g -1 , 100 mu;g g -1 그룹의 토양 미생물 풍부도 지수와 다양성 지수는 모두 대조 그룹보다 뚜렷이 낮았다(P lt;0.05). 또 21일째 1 mu;g g -1 , 10 mu;g g -1 , 100 mu;g g -1 그룹과 대조 그룹의 차이 역시 뚜렷하였으며, 35일째에는 100 mu;g g -1 그룹만이 대조 그룹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 노르플록사신은 대사 강도와 대사 다양성을 포함한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농도가 다름에 따라 미치는 영향 역시 달랐다. 100 mu;g g -1 의 노르플록사신은 약물을 사용한 전기와 후기에 모두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 대사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며, 토양 중 노르플록사신이 해당 농도까지 축적되면 미생물 군집 대사 기능에 미친 영향은 되돌릴 수가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