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 Yi,Peng, Jinju,Wang, Yun,Chen, Falin,Chen, Jinjun,Sun, Yongxue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클로로폼 훈증추출법(chloroform fumigation extraction)과 Biolog법을 이용하여,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이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soil microbial biomass carbon)와 미생물 군집의 탄소 대사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환경 중 잔류 시프로플록사신이 토양 미생물학적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시프로플록사신(wCIP ge; 0.1 mu;g/g)은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의 함량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P lt;0.05). 토양 내 시프로플록사신 농도가 높을수록,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의 함량은 낮았으며, 100 mu;g/g의 시프로플록사신으로 처리한 토양 내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의 함량은 58.69% 감소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은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 대사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며, 탄수화물,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아미노산(amino acids), 폴리머(polymer), 페놀류(phenol), 아민류(amine)에 대한 토양 미생물의 탄소원 이용률은 감소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wCIP ge;0.1 mu;g/g)은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원 대사 강도와 대사 다양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나, 다양한 농도의 시프로플록사신이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의 대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달랐다. 0.1, 1, 10 mu;g/g의 시프로플록사신으로 처리는 토양 내 미생물 군집이 탄소 대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주요하게 처리 전기(약물 사용 7번째 날, 21번째 날)에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처리 후기(약물 사용 35번째 날)에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100 mu;g/g의 시프로플록사신은 약물 사용 전기와 후기에 모두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쳤다. 토양 내 시프로플록사신의 농도가 100 mu;g/g일 때,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 대사 기능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