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혼농임업 시스템(agroforestry system)은 전통적인 토지 이용 및 경영 방식으로서, 상뤄(Shangluo) 생태 환경의 개선, 해당 지역의 농가 소득 증가, 생태와 경제의 통합 발전 추진 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임하(under forest) 농작물의 생태 생리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연구지역의 혼농임업 시스템 중 콩(soybean), 단삼(salvia miltiorrhiza)의 광합성,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를 체계적으로 관측하였다. 연구 결과, 단일재배(monoculture) 지역과 호두나무에서 1m 떨어진 지역은 호두나무와 가까울 수록 빛이 더 많이 차단되었다. 재배 유형에 따른 콩의 광합성 속도(photosynthetic rate), 기공 전도도(stomatal conductance), 증산 속도(transpiration rate)의 일일 변화 추세는 광합성 유효 방사(photosynthetic active radiation)와 거의 일치하였다. 재배 유형에 따른 단삼의 광합성 속도의 일일 변화 추세는 각기 달랐으며, ''정오 휴식(lunch break)''현상이 나타났다. 단일재배에 비해, 혼합재배한 콩, 단삼의 광합성 속도, 기공 전도도, 증산 속도는 다양한 정도로 감소하였다. 차광도(degree of shade)가 증가할 수록, 콩, 단삼의 엽록소 함량과 겉보기 양자 수율(apparent quantum yield)은 증가하였으나, 광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과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은 감소하였다.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의 광 에너지 최대 전환 효율(maximum conversion efficiency of light energy), PSⅡ 전자 전달 양자 효율(Electron transfer quantum efficiency), 광화학적 소멸 계수(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는 증가하였으나, 비광화학적 소멸 계수(non-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는 감소하였다. 이는 콩, 단삼이 약한 빛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며, 또 정상적으로 생장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