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tioxidant defense and photosynthesis for non-indigenous mangrove species Sonneratia apetala and Laguncularia racemosa under NaCl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plant ecology
ISSN 1005-26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Jian,LI, Niya,LIU, Qiang,ZHONG, Cairong,HUANG, Min,ZENG, J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장기적인 염 스트레스(28일, NaCl 농도가 100mmol·L ndash;1 에서 400mmol·L ndash;1 로 상승)하에서, Sonneratia apetala와 Laguncularia racemosa 묘목 잎사귀의 가스 교환, 엽록소 함량, 최대 광화학 효율(F v /F m ), O 2 ndash; ·생성 속도 및 항산화 효소의 활성 등을 비교하고, 두 가지 맹그로브(mangrove) 묘목의 광합성 및 항산화 방어 능력의 차이와 내염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NaCl 처리는 두 가지 맹그로브 묘목의 성장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는 염생식물의 염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NaCl 처리를 거친 두 가지 맹그로브의 생리 반응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실험 28일째(묘목의 NaCl 누적 처리 농도가 400 mmol·L ndash;1 로 상승), 대조군과 비교하는 경우, Sonneratia apetala 잎의 순 광합성율과 수분 이용률은 증가하고, 기공 전도도, 증산 속도 및 세포 사이 CO 2 농도/대기 CO 2 농도(C i /C a )는 하강하였다. Laguncularia racemosa 잎의 순 광합성율, 증산 속도 및 수분 이용률은 모두 대조군의 수준으로 내려가고, 기공 전도도와 C i /C a 는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같은 NaCl 처리 조건이 Laguncularia racemosa 잎의 순 광합성율에 미치는 영향은 Sonneratia apetala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NaCl 처리 기간에 Sonneratia apetala의 F v /F m 은 지속적으로 0.8 이상이고, Laguncularia racemosa의 F v /F m 은 0.75 이하이다. 이는 Sonneratia apetala가 Laguncularia racemosa보다 높은 잠재적 최대 광합성 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실험 7일째(NaCl 농도는 100mmol·L ndash;1 )와 14일째(묘목의 NaCl 누적 처리 농도가 200mmol·L ndash;1 로 증가), 두 가지 맹그로브의 O 2 ndash; ·생성 속도는 신속히 증가한다. 실험 28일째(묘목의 NaCl 누적 처리 농도가 400mmol·L ndash;1 로 증가), Sonneratia apetala의 O 2 ndash; ·생성 속도는 대조군의 5.3배이며, 차이가 매우 현저하다. 이 때, Laguncularia racemosa 잎 중의 O 2 ndash; ·생성 속도는 이미 대조군보다 낮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염분 처리는 두 가지 맹그로브 잎의 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OD), 카탈라아제(CAT), 아스코르브산염 과산화 효소(APX), 클루타티온 환원효소(GR) 및 과산화 효소(POD) 활성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Laguncularia racemosa의 증가 폭은 Sonneratia apetala보다 크다. 이는 Laguncularia racemosa는 염 스트레스에 반응하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제고하며, 염분 유도의 지질 과산화를 하강시키고, 내염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또한, Sonneratia apetala는 수분 이용률을 제고하여 체내의 수분을 유지하고, PSII의 최대 광화학 양자 생산량을 유지하여 Sonneratia apetala가 고염 처리 조건에서도 대조군보다 높은 수준의 광합성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5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ioxidant enzyme,gas exchange,Laguncularia racemosa,salt stress,Sonneratia apetala,항산화 효소,가스 교환,Laguncularia racemosa,염 스트레스,Sonneratia apeta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