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Water-Rock Interaction Simulation of Dagu River Underground Saltwater-Freshwater Transition Zon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自然科學版
ISSN 1672-51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Ran,ZHENG, Xi-l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다구 강(Dagu River)은 칭다오시(Qingdao)에서 가장 큰 지하 수원지로서 과도한 지하수 개발로 인해 심각한 지하수 해수 침입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지하 해수-담수의 지구화학적 작용의 연구는 지하 해수의 정비에 대해 중요한 지침적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구 강 지하 해수-담수 전이대를 연구 영역으로 선택하고 지하수 동적 모니터링을 진행한 다음, 지하수 수질과 water-bearing medium 광물을 분석하고 현재 성숙한 수문 지구 화학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PHREEQC 2.0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주요 이온과 착 이온( complex ion ) 함량을 계산하였고 광물의 포화 지수와 지하수 유동 방향에서의 광물상(mineral phase)과 물 사이의 물질 교환량을 정량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1) 지수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은 주로 단일 이온 형태로 존재하고 황, 탄소는 주로 착 이온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규소와 알루미늄은 주로 착물 형태로 존재하였다. (2) 지하수 유동 경로에서 방해석, 백운석, 일라이트(illite), 고령석은 과포화 상태이고, 석고(gypsum), CO 2 , 염화나트륨, 형석(fluorite), 옥수(chalcedony)는 불포화 상태였다. (3) 해수-담수 전이대의 지하수 화학 유형은 HCO 3 -Ca·Na형 지하수를 Cl-Na형 지하수로 변환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2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agu River,saltwater-freshwater transition zone,mineral saturation index,water-rock interaction simulation,다구 강,해수-담수 전이대,광물 포화 지수,물-암석 상호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