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U, Da-pao,ZHOU, Wang-ming,BAO, Ye,QI, Lin,ZHOU, Li,DAI, Li-min |
초록 |
20세기 말부터 두가지 중요한 변화는 중국 동북지역 온대 활엽 홍송림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중 하나는 천연림 자원보호 공정(천연림 보호공정)의 시행이고 다른 하나는 홍송은 더는 수종 용재로 벌채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산림벌채 후의 갱신 조림 모델에 현저한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다. 창바이산 중심-루수이허(Lushuihe) 임업국의 활엽 홍송림을 연구대상으로 산림자원 조사(두 종류)와 작업 디자인 조사 재료(세 종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중요한 변화가 기존의 산림자원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천연림 보호공정의 시행은 벌채량을 줄였고 산림의 헥타르 당 축적량을 간접적으로 제고하였으며 총제적으로 산림자원의 회복을 촉진하였다. 현재, 피나무, 신갈나무, 들메나무와 느릅나무 등은 상품재료 총 생산량(축적량)의 94.7%를 차지한다. 이와 동시에 벌채 가능한 4개 수종의 연 생장량은 오히려 벌채량보다 적고, 하층에 보식한 홍송은 활엽수 갱신의 경영모델을 무시하여 홍송이 활엽 홍송림에서의 비율을 점차 증가할 수 있으며, 현재 상품재료 자원부족 상황을 보다 심각하게 할 것이다. 총체적으로 천연림 보호공정은 공익 산림지구 산림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였으나, 목재생산에 사용하는 상품림의 면적을 감소하였다; 홍송 벌채금지는 홍송이 상품림에서의 비율을 증가하였고 상품림 중의 용재수종 비율과 상품재료의 지속가능한 생산 능력을 감소하였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벌채 가능한 임목 자원의 고갈을 초래할 것이다. 이로부터 산림육성의 목적을 근거로 하여 적합한 산림갱신 회복모델을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