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n Species Diversity of Pinus tabulaeformis Forest Communities in the Southern Taihang Mountai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科學學報 = Plant science journal
ISSN 2095-083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UO, Hua,ZHANG, Gui-ping,TIE, Jun,LI, Yan-f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만주흑송(Pinus tabulaeformis)은 타이항산(Taihang Mountains) 지역의 중요한 식수조림 수종이다. 본 논문은 타이항상 남단을 연구지역으로 하였고 임의적 샘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우샹(Wuxiang), 리청(Licheng), 샹위안(Xiangyuan), 핑순(Pingshun), 후관(Huguan), 툰류(Tunliu) 등 6개 지역 만주흑송의 생물종 다양성 및 군락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6개 지역 만주흑송 군락에 모두 34개 과, 70개 속, 81개 종의 종자식물이 존재하였다. 이중 4개 과, 4개 속, 5개 종의 교목, 7개 과, 12개 속, 15개 종의 관목, 23개 과, 54개 속, 61개 종의 초본을 포함하였다. (2) 타이항산 남단 만주흑송 군락 종자식물 속의 구계 성분 유형은 다양하였고 온대 성분이 절대적 우위를 점하였다. (3) 우샹, 리청, 샹위안, 핑순, 후관 등 5개 지역 만주흑송 군락의 생물종 다양성은 초본층 gt;관목층 gt;교목층 순이었고 비교적 일치한 변화 추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툰류에서 다양한 기능 그룹 생물종의 다양성은 초본층=관목층 gt;교목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4) 6개 지역 만주흑송 군락의 다양성은 핑순 gt;리청 gt;샹위안 gt;우샹 gt;툰류 gt;후관 순이었다. (5) 만주흑송의 군락 다양성과 생물종 다양성 수준은 군락 천이의 진행과정, 지리적 환경, 인위적 간섭 등 여러가지 요인의 협동 작용을 받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37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inus tabulaeformis,Species diversity,Community diversity,Southern TaihangMountains,만주흑송,생물종 다양성,군락 다양성,타이항산 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