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forest vegetation carbon storage by using the VAR model:a case study in Shanxi Provi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Sheng-nan,LI, Yan-quan,YU, Da-pao,ZHOU, Li,ZHOU, Wang-ming,GUO, Yan,WANG, Xiao-yu,DAI, Li-m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삼림은 육지 생태계 가장 큰 탄소저장고로서 현재 및 미래의 기후변화, 탄소 평형에 모두 큰 영향을 미친다. 삼림 식생 탄소저장고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과 비자연 요소에 대한 연구는 삼림의 탄소 흡수원 작용을 증가하여, 생태환경 상황을 개선하는데 중대한 의의가 있다. 기존의 삼림 동태 모델은 탄소저장량 각 영향 인자 사이의 관계를 양호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지만, 연구는 흔히 작은 척도 단일한 영향요소에서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모델의 입력변수와 파라미터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해당 모델의 구역 심지어 더 큰 척도에서의 응용은 어느 정도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VAR 모델을 이용하고 산시성을 사례로 삼림 식생 탄소저장량과 병충해 발생면적, 목재 생산량, 삼림 화재면적, 삼림 보육면적, 인공 갱신 조림면적, 강수와 온도 사이의 동태 관계를 구축하여, 해당 모델이 성급 척도 조건에서의 구역 삼림 식생 탄소저장량 영향요소 분석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그 결과, 각 변수는 5%의 뚜렷한 수준에서 1차 통합 시리즈(integrated of 1 series)를 나타내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안정한 균형관계를 나타냈으며, VAR 모델은 안정성 점검(Stationary Test)을 통과하여 운행의 전제적 조건을 만족하였다. 임펄스 응답과 분산 분해 분석에 따르면 삼림 병충해, 목재 생산량은 산시 성 삼림 식생 탄소저장량에 뚜렷한 부작용을 나타냈으며, 동시에 기여율은 각각 5.61%와 4.52%로서 매우 높다; 삼림보육, 인공갱신 조림이 탄소저장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 유도기(lag phase)가 존재한다; 화재, 온도와 강수의 충격이 탄소저장량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뚜렷하지 않았다. 모델은 각 영향요소가 산시 성 탄소저장량에 미치는 영향을 양호하게 시뮬레이션하였으며, 동시에 어느 정도의 현실적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해당 모델은 성급 척도 조건에서의 구역 삼림 식생 탄소저장량 영향요소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orest vegetation carbon storage,influencing factor,VAR model,impulse response,variance decomposition,식생 탄소저장량,영향요소,VAR 모델,임펄스 응답,분산 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