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y on mesophyll protoplast culture of dipoloid potat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學雜志 = Journal of Biology
ISSN 2095-173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AN, Hua-ling,JIN, Li-ping,HUANG, San-wen,LI, Ying,QU, Dong-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세균성 시들음병(bacterial wilt)에 저항하는 감자의 이배체(diploid) 재료 ED13과 CE171, 칩스(Chips) 색깔이 좋은 이배체 재료 HS66 및 우량 형질의 이게놈 반수체(double haploid) DH401과 DH405를 실험 재료로 하여 감자의 엽육(mesophyll) 원형질체배양(protoplast cultur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잎의 현탁액을 어둠 속에서 전처리하는 방식과 완전한 묘목(complete plantlets)을 어둠 속에서 전처리하는 방식은 원형질체의 활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0.5 mol/L 만니통(Mannitol)을 삼투압 조절제로 사용하고 25℃에서 12시간 용해했을 때, CE171과 DH401에 적합한 섬유분해효소 농도가 ED13, HS66과 DH405보다 높았으며 각각 0.3%와 0.4%였다. ED13과 DH401 원형질체를 VKM 액체 배양기에서 3~4주 배양하고 유합조직(callus) 생장 배양기에서 2주 배양한 후 싹(bud)이 유도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더니 2~3달 지난 후 뿌리, 줄기와 잎이 완전한 식물로 자랐다. HS66과 CE171 원형질체를 6~8주 배양시켜도 3~4 mm 유합조직을 형성할 수는 있지만, 출아(budding)는 하지 않았다; DH405의 원형질체는 분열하지 않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8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otato,diploid mesophyll cell,protoplast culture,감자,이배체 엽육세포,원형질체배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