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갯벌과 황토에 의한 중금속 (Cu, Cd, Pb)의 흡착 kinetic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ISSN 0374-811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유선재,김종구,김종배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0-01-01
초록 조성이 다른 3곳 갯벌과 적조구제를 위해 사용되는 2곳의 황토를 이용해 금속 (Cu, Cd 및 Pb)의 흡착 kinetic을 밝히고, nonlinear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구한 흡착속도와 갯벌의 조성과의 관계를 평가해 보았다. 중금속흡착에 영향을 주는 갯벌이나 황토의 조성 중에서 강열 감량 (I.L.), 산화철 ${ cdot}$ 망간 ${ cdot}$ 알루미늄의 함량은 황토가 갯벌보다 $1.5{ ~}6$ 배 높았다. 하지만 니질의 함량은 어은리 갯벌이 다른 시료보다 $4{ ~}50$ 배 많았다. 중금속흡착은 초기 30분 동안에 매우 빠르게 일어났다. 이때 흡착량은 Cu, Cd과 Pb이 각각 $4.1{ ~}14.7 ;{ mu}g/g, ;42.8{ ~}16.7 ;{ mu}g/g$ 그리고 $43.3{ ~}101.7 { mu}g/g$ 으로 3시간 실험 후 총 누적흡착량의 $8{ ~}70{ %}, ;18{ ~}31{ %}$ 그리고 $19{ ~}52{ %}$ 이었다. 흡착실험시 초기 금속농도를 동일 (약 $ 0.5{ times}10^(-5)M$ )하게 하여 운전한 결과 흡착량은 Pb gt;Cu gt;Cd 순으로 많았다. 중금속의 흡착 kinetic은 one-site kinetic model로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구리의 경우 non-linear model로 계산된 흡착속도 (Ka)와 3개 갯벌의 I.L., 산화알루미늄 및 니질 함량 사이에는 $R^2=-0.88{ ~}-0.99$ 의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0248394025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dsorption kinetics,Tidal flat sediment,Yellow loess,One-site kinetics,Non-linear regress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