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ree species of Pyropia thallus to high temperature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ISSN 1009-547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Wei-zhou,XU, Jun-bin,WU, Wen-ting,JIANG, Hong-xia,ZHU, Jian-yi,LU, Qin-q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남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김(Pyropia)속 생물종 Pyropia dentata, P. haitanensis와 P. crispata의 엽상체(Thallus)를 연구대상으로 조류의 엽록소a,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홍조소(Phycoerythrin)와 남조소(Phycocyanin), 및 광화학적 양자수율(Photochemical quantum yield), 총 항산화능력과DPPH(diphenyl picrylhydrazyl) 유리기의 제거율을 측정하여 3가지 김의 고온 스트레스(26, 29, 32℃) 조건에서의 생리적 응답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고온 스트레스는 3가지 김의 색소 함량이 줄어들게 하였으며 조류 외관에 붉고, 희고, 투명한 현상이 나타났다. 고온으로 인하여 3가지 김의 최대 광화학적 양자수율과 실제 광화학적 양자수율이 낮아졌으며 29℃와 32℃에서는 아주 뚜렷한 수준까지 낮아졌다. 장시간( gt;3d)의 고온 스트레스도 김의 총 항산화능력과 DPPH 유리기의 제거 능력을 줄일 수 있다. 32℃에서 P. haitanensis와 Pyropia dentata는 세번째 날부터 죽기 시작하였으며 P. crispata도 6일 이상 생존하지 못하였다. 비교결과 P. crispata의 고온 저항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Pyropia dentata이고 P. haitanensis가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손상 받는 정도가 가장 심각하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P. crispata와 Pyropia dentata는 중국 남방 연해에서 보급하고 재배할 잠재성과 우위성을 갖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5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yropia,photosynthetic pigment,photochemical efficiency,total antioxidant capacity,DPPH radical,김,광합성 색소,광화학적 양자수율,총 항산화,DPPH 유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