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otosynthet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mellia petelotii Seedlings under Drought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AI, Sheng-feng,TANG, Jian-min,WANG, Man-lian,CHEN, Zong-you,JIANG, Yun-sheng,WEI, Xi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Camellia petelotii 1년생 실생묘를 재료로 하고, 분재 물조절 실험을 통하여, 서로 다른 수분 처리(CK, T 1 , T 2 , T 3 , 토양 함수량이 각각 논밭 용수량의 85%~90%, 65%~70%, 50%~55%, 35%~40%)가 Camellia petelotii 유묘의 광합성 생리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강한 정도의 건조 스트레스(T 3 처리)에서 Camellia petelotii 식물체는 모두 건조하여 사망하게 되었는데, 이는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Camellia petelotii 유묘의 내성 극한은 논밭 용수량의 50%~55%(토양 함수량은 15.04%~16.54%)라는 것을 설명한다. (2) 건조 스트레스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Camellia petelotii 유묘 엽편의 순광합성속도(P n ), 기공전도도(G s ), 증산속도(T r ), 기공제한값(L s )과 PSⅡ 실제광화학양자효율(Φ PS Ⅱ )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세포간 CO 2 농도(C i )와 수분이용효율(WUE)은 뚜렷하게 변화하지 않았고, 건조 스트레스에서 Camellia petelotii 광합성속도가 감소한 주요 원인은 비기공 요소로 인한 것이다. (3) CK에 비해 T 1 처리에서 엽편의 초기 형광(F 0 ), 최대 형광(F m ), PSⅡ 최대 광화학효율(F v /F m )과 말론디알데히드(MDA) 함량은 뚜렷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T 2 처리에서 F 0 , MDA 함량은 뚜렷하게 높아졌고, F m , F v /F m 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T 1 처리에서 Camellia petelotii의 PSⅡ 반응센터는 아직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T 2 처리에서 그 광합성 메커니즘은 불가역적으로 파괴되었다. (4) 엽편 엽록소 총량(Chl), 엽록소 a(Chl a), 엽록소 b(Chl b), 카로티노이드(Car) 함량, Chl a/Chl b, Car/Chl, 엽편 상대함수량(RWC)은 건조 스트레스의 강화에 따라 감소하였고, 프롤린(Pro) 함량은 건조 스트레스가 심해짐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Camellia petelotii는 건조 스트레스에 매우 예민하며, 수분이 조금 결핍하여 그 광합성 작용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Camellia petelotii의 건조에 저항하지 않는 생리적 특성은 그 개체군 확산을 제한하는 하나의 중요한 원인으로 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438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amellia petelotii,drought stress,photosynthetic gas exchange,chlorophyll fluorescence,physi-ological characteristics,Camellia petelotii,건조 스트레스,기체 교환,엽록소 형광,생리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