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저수태 한우와 번식장애 한우의 혈액화학치 및 호르몬 분석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家畜繁殖學會誌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ISSN 1226-528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양부근,김종복,정희태,박춘근,김정익,황환섭,김현철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9-01-01
초록 본 실험은 한우 번식장애우와 저수태우의 혈액 성분 및 성선호르몬(estrogen과 progesterone)의 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우의 기초적인 생리지표를 확립시키는데 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수태 한우와 번식장애우 혈중 albumin, BUN, Ca, cholesterol, creatine, glucose, phosphorous, total protein 및 triglyceride 함량은 3.28 $ pm$ 0.05 와 3.27 $ pm$ 0.04 g/ #13207;, 11.07 $ pm$ 0.61와 12.69 $ pm$ 0.88 mg/ #13207;, 9.98 $ pm$ 0.10와 9.56 $ pm$ 0.11mg/ #13207;, 105.75 $ pm$ 3.57와 126.78 $ pm$ 5.66 mg/ #13207;, 1.62 $ pm$ 0.05와 1.65 $ pm$ 0.09 mg/ #13207;, 67.46 $ pm$ 3.07와 76.97 $ pm$ 3.76 mg/ #13207;, 6.13 $ pm$ 0.36 와 6.11 $ pm$ 0.26 mg/ #13207;, 5.82 $ pm$ 0.08와 6.18 $ pm$ 0.08 g/ #13207; 및 12.82 $ pm$ 1.46와 15.19 $ pm$ 1.61 mg/ #13207;으로 나타났다. 2. 혈청의 중요한 성분중 하나인 요소태 질소, 칼슘 및 인의 함량이 번식 장애우와 저수태우의 경우 정상우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번식 장애우와 저수태우의 경우 정상우의 약 2배정도 현저히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3. 발정주기중 혈액내 progesterone 수준은 임신우와 비임신우에서 수정후 18일까지는 비슷한 수준(6.55 $ pm$ 0.17, 5.46 $ pm$ 0.18 ng/ $m ell$ )을 보였으나 그 후 임신우에서는 점차 증가하였고 비임신우에서는 발정일 (0.18 $ pm$ 0.03 ng/ $m ell$ )에 급감하였다. 4. 번식 장애우와 저수태우의 혈중 estrogen과 progesterone 함량은 각각 57.42 $ pm$ 5.03, 56.76 $ pm$ 8.73 pg/ $m ell$ 과 6.26 $ pm$ 0.83 ng/ $m ell$ , 9.41 $ pm$ 1.85 ng/ $m ell$ 으로서, 혈중 progesterone 농도가 정상우의 황체기 수준으로 유지되어 발정발현과 수태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91192241478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lood chemical values,Repeat breeder,Reproductive disorder,Progesterone,Estro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