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nhancement of GA3 and EDTA on Lolium perenne to remediate Pb contaminated soil and its detoxification mechanis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Qiu-ling,WANG, Wen-chu,HE, Shan-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분재배법을 이용하여 생장조절제 GA 3 및 중금속 킬레이트제 EDTA에 의해 외인성 Pb 농도가 각각 250 및 500mg·kg -1 인 오염토양에 대한 호밀풀(Lolium perenne)의 복원 증진 및 호밀풀의 Pb 해독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세포벽의 침적 및 공포성 격실은 호미풀 지상부 Pb의 해독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EDTA의 단독 사용은 식물체내 Pb의 농도 및 Pb가 가용성 성분 및 세포기관 성분에서의 비율을 높였으며, 또한 Pb의 식물에 대한 독성 작용을 증진시킴으로써 식물의 바이오매스를 뚜렷하게 감소시켰다(P 엽면에 살포한 저농도의 GA 3 (1 및 10μmol·L -1 )은 호밀풀의 Pb에 대한 대량 축적을 뚜렷하게 촉진하였지만 Pb가 세포기관 성분 내에서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Pb가 식물 세포에 대한 손상을 완화하여 호밀풀의 생장을 촉진하였다. 그중 1μmol·L -1 GA 3 의 작용이 가장 뚜렷하였다. 100μmol·L -1 GA 3 은 호밀풀 체내의 Pb 농도를 감소시켰지만 Pb가 가용성 성분 및 세포기관 성분 내에서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호밀풀의 바이오매스는 대조군에서보다 뚜렷하게 낮았다. 저농도 GA 3 은 일정한 정도에서 호밀풀에 대한 Pb 및 EDTA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었는데, 바이오매스는 저농도 GA 3 단독 사용 gt;저농도 GA 3 +EDTA gt;EDTA 단독 사용으로 표현되었다. 저농도 GA 3 과 EDTA 복합 사용시의 시너지 효과는 호밀풀의 Pb 축적을 증진시켰는데, 그중 외인성 Pb 농도가 500mg·kg -1 처리 그룹에서 EDTA+1μmol·L -1 GA 3 은 호밀풀 지상부 Pb의 농도 및 추출 효율을 각각 1 250.6mg·kg -1 및 1.1%로 향상시켰다. 결론적으로, 1μmol·L -1 GA 3 과 EDTA의 결합 사용은 Pb 오염토양의 식물상 복원에 매우 큰 응용 잠재력이 있다고 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961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DTA,GA3,Lolium perenne,Pb accumulation,subcellular distribution,EDTA,GA3,호밀풀,Pb 대량 축적,준세포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