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O, Nan,BAI, Jie,ZHANG, Xue-mei,ZHANG, Ning,WU, Wei-dong,LI, Wen-rong |
초록 |
살균성/투과성항진단백질(Bactericidal/permeability-increasing protein, BPI)은 그람음성균 외막의 지질 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와 결합하여 그를 특이적으로 중화시킬 수 있다. LPS 유도의 면역 반응(immune respond)에서 소 내원성 BPI 단백질 및 N말단 도메인의 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전체 길이가 1,449 bp인 BPI 코딩 영역 서열(BPI)과 N 말단714 bp의 코딩 영역 서열(BPI714)을 각각 mHEK293 세포에 도입하여 안정적으로 발현된 BPI혹은 BPI714이 LPS 유도의 염증성 세포인자(inflammatory cytokines)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pLEX-BPI/pLEX-BPI714 벡터로 mHEK293 세포를 각각 형질전환시켜 소 내원성 BPI 혹은 BPI714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mHEK293 세포를 얻었다; 그다음 LPS를 이용하여 이 세포에 대한 자극전과 자극 후 1 h, 3 h, 6 h, 12 h, 24 h, 36 h, 48 h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동시에 서로 다른 시간점에 BPI 혹은 BPI714를 발현하지 않는 mHEK293 세포 샘플을 수집하여 대조 그룹으로 하였다; 정량 RT-PCR 검사법으로 염증성 세포인자 IL-8, IL-1β, TNF-α, NF-κB-1, NF-κB-2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검사하고 LPS 자극전과 자극후에 발현된 BPI/BPI714와 대조세포 내 이 유전자의 전사 수준 변화 규칙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LPS 자극후 서로 다른 시간점에서 대조세포의 IL-8, IL-1β, TNF-α, NF-κB-2 발현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P 실험 결과, mHKE293 세포 모델에서 BPI 혹은 BPI714은 LPS 유도의 염증성 세포 인자 발현을 뚜렷하게 낮추고 LPS 유도의 면역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BPI 억제 메커니즘의 심층 연구와 그의 균 억제 기능을 이용하는데 신뢰성의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항균 단백질의 항균 효과를 분석하는데 정확한 실험법을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