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종양세포의 침윤은 악성 종양의 특징으로서 S100A4와 COX2는 많은 종양에서 종양의 진행과 침윤에 관련되어 잇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유두암의 임상 병기는 연령, 종양의 크기, 갑상선외 조직 침윤에 따라 분류되는데 이 중 갑상선외 조직 침윤이 종양의 침습성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확실한 예측 표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S100A4와 COX2가 갑상선 유두암의 진행과 침윤에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35명의 갑상선 유두암 검체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S100A4와 COX2의 발현율을 평가하고 암종의 크기, 림프절 전이, 다발성, 갑상선외 조직 침윤 등을 포함한 다른 임상-병리조직학적 특성과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S100A4와 COX2 발현율은 암종의 중심부 보다는 침윤 부위 최전방에서 더 높게 관찰되었다. S100A4와 COX2 발현율이 높은 군과 갑상선외 조직 침윤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었다(각각 P = 0.0094, P = 0.0433). 하지만 암종의 크기, 림프절 전이, 다발성 등을 포함한 다른 임상-병리조직학적 특성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갑상선 유두암의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는 갑상선외 조직 침윤이 S100A4와 COX2 발현율과 관련이 있으므로 S100A4와 COX2 발현율은 갑상선 유두암의 예측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