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주파의 파봉에 대한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해안 middot;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ISSN | 1976-8192, |
ISBN |
저자(한글) | 이병욱,이창훈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항주파 파봉의 위치를 예측하는 Kelvin(1887)의 이론해는 심해에서만 적용 가능한 한계가 있다. 최대파향각을 예측하는 Havelock(1907)의 이론해는 모든 수심에서 적용 가능하지만 파향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파봉의 위치를 예측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항주파의 분산관계식을 온전하게 이용하여 모든 수심에 적용 가능한 항주파 파봉식을 개발하고, 이 식을 이용하여 항주파의 최대파향각을 예측하였다. FLOW-3D를 이용하여 Johnson(1958)의 수리모형실험을 수치적으로 재현한 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대파향각의 이론해가 모든 수심에서 수치해, 수리실험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여러 조건에서 항주파를 수치적으로 재현한 후 파봉선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론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선박의 속도가 ${ sqrt{gh}}$ 보다 작은 경우 이론해와 유사하였다. 선박의 속도가 ${ sqrt{gh}}$ 보다 큰 경우 첫 번째 항주파의 거리를 결정하는 상수 $C_1$ 은 0에 가까운 값이었고 첫 번째 항주파를 제외한 경우 이론해와 유사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0845094135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항주파 파봉식,최대파향각,모든 수심,FLOW-3D 수치실험,equations for ship wave crest,cusp locus angle,whole water depths,numerical simulation using FLOW-3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