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서울대학교의 61cm 망원경에 SGS 분광기를 부착하여 4개의 Be 항성에 대한 분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으로부터 얻은 각 항성의 $H{ alpha}$ 등가폭은 HD 5394가 $-26.4{ AA}$ , HD 10516이 $-27.7{ AA}$ , HD 200120이 $-10.2{ AA}$ , HD 202904가 $-18.2{ AA}$ 이다. 이로부터 Grundstrom Gies (2006)가 제시한 $H{ alpha}$ 방출선의 등가폭과 수소 방출선 영역의 크기 관계를 이용하여 구한 원반의 수소 방출선영역의 크기는 HD 5394가 $6.7{ pm}0.3R_{H{ alpha}}/R_s$ , HD 10516이 $8.2{ pm}0.4R_{H{ alpha}}/R_s$ , HD 200120이 $6.0{ pm}0.4R_{H{ alpha}}/R_s$ , HD 202904가 $4.1{ pm}0.1R_{H{ alpha}}/R_s$ 이었다. HD 5394와 HD 10516에 대한 결과는 $H{ alpha}$ 간섭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약 20% 정도 차이가 났다. 항성의 광구에서 발생한 $H{ alpha}$ 흡수선의 등가폭을 정밀하게 보정하고, Grundstrom Gies (2006)의 모형이 좀더 현실적으로 개선되며 정확한 항성 물리량 (유효온도, 원반 경사각, 원반 전체 크기)을 적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원반크기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1cm 구경의 반사망원경과 범용의 중분산 분광기를 활용한 분광관측으로도 충분히 Be 항성의 원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