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H #x03B1; 방출선을 통한 Be 항성 원반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ISSN 1225-1534,2287-693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안대건,배장호,이상각,신영우,고연경,강석철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서울대학교의 61cm 망원경에 SGS 분광기를 부착하여 4개의 Be 항성에 대한 분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으로부터 얻은 각 항성의 $H{ alpha}$ 등가폭은 HD 5394가 $-26.4{ AA}$ , HD 10516이 $-27.7{ AA}$ , HD 200120이 $-10.2{ AA}$ , HD 202904가 $-18.2{ AA}$ 이다. 이로부터 Grundstrom Gies (2006)가 제시한 $H{ alpha}$ 방출선의 등가폭과 수소 방출선 영역의 크기 관계를 이용하여 구한 원반의 수소 방출선영역의 크기는 HD 5394가 $6.7{ pm}0.3R_{H{ alpha}}/R_s$ , HD 10516이 $8.2{ pm}0.4R_{H{ alpha}}/R_s$ , HD 200120이 $6.0{ pm}0.4R_{H{ alpha}}/R_s$ , HD 202904가 $4.1{ pm}0.1R_{H{ alpha}}/R_s$ 이었다. HD 5394와 HD 10516에 대한 결과는 $H{ alpha}$ 간섭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약 20% 정도 차이가 났다. 항성의 광구에서 발생한 $H{ alpha}$ 흡수선의 등가폭을 정밀하게 보정하고, Grundstrom Gies (2006)의 모형이 좀더 현실적으로 개선되며 정확한 항성 물리량 (유효온도, 원반 경사각, 원반 전체 크기)을 적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원반크기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1cm 구경의 반사망원경과 범용의 중분산 분광기를 활용한 분광관측으로도 충분히 Be 항성의 원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7099063454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ars,Be stars, lt,TEX gt,$H{ alpha}$ lt,/TEX gt,e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