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EOLOGICAL CONDITIONS FOR HYDROCARBON ACCUMULATION: A CASE FROM WELL X IN SOUTHERN CENTRAL PART OF MAICHEN SAG OF BEIBUWAN BAS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ISSN 1009-272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ONG, Xiao-feng,HE, Jia-xiong,LIU, Ju,MO, Tao,ZHANG, Jing-ru,ZHANG, Wei,LI, Xiao-t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X 유정(oil well)에 대한 시추(drilling) 작업을 통하여 얻은 고제3기 지층(Paleogene System)과 신제3기 지층(Neogene System) 내 유기물 비트리니트(vitrinite)의 반사율을 분석하여 X 유정의 탄화수소 생성을 위한 임계 깊이(threshold depth of hydrocarbon generation)가 2,600 m보다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기물 풍도 (abundance) 가 비교적 높은 시신세( Eocene series ) 류사강 이암층( Liushagang Formation mudstone )(2,100~2,285 m)은 성숙한 임계값에 이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탄화수소 생성 임계값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 탄화수소 근원암(source rock)의 유기물 풍도와 탄화수소 생성 잠재력은 낮았으며 충분한 탄화수소원을 공급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X 유정에 대한 탐사는 실패하였다. X 유정은 베이부만 분지(Beibu Gulf Basin) 마이천 새그(Maichen Sag)의 동부-3 함몰지(East-3 Depression) 남부 변두리에 위치하였으며 시추 류사강층의 두께는 568.8 m, 이암 두께는 해당 지층의 62.3%를 차지하였다. 그 중 단일 이암층의 최대 두께는 무려 115 m에 달하였는데 이로부터 퇴적시기 류사강층의 수역 환경이 깊고 퇴적 및 수용 가능한 공간이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X 유정에 대한 시추 결과와 기존의 결론[마이천 5호 성장 단층(growth fault)은 시신세에 미약한 활동을 하였으며 퇴적 및 수용 가능한 공간은 작았는데 이로 인하여 동부-3 함몰지의 탄화수소 형성을 위한 물질기초는 부족하였다]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X 유정은 동부-3 함몰지 변두리에 위치하였으며 류사강층 꼭대기의 침식 강도는 비교적 컸다. 이로부터 동부-3 함몰지의 침강 중심과 가까운 시신세 류사강층은 두터운 호수 이암 퇴적상과 깊은 매장 깊이를 갖고 있으며, 유기물 성숙도 임계값과 탄화수소 생성 임계값을 가질 수 있다고 추측하였다. 그러므로 탄화수소를 매장하기 위한 양호한 지질 조건과 탐사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ichen Sag,boundary growth faults,East-3 Depression,threshold depth of hydrocarbon generation,hydrocarbon source conditions,마이천 새그,경계 성장 단층,동부-3 함몰지,탄화수소 생성 임계값,탄화수소원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