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수온과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미더덕 Styela clava의 생존율 및 생리적 반응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ISSN 1226-999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신윤경,박정준,박미선,명정인,허영백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미더덕의 집단폐사가 주로 발생하는 여름철 고수온 및 빈산소에 의한 생물학적 지표를 찾아 대량폐사 원인구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온상승 및 용존산소농도 감소에 따른 미더덕의 생존율, 생리적 반응 및 조직학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수온상승에 따른 생존율은 수온 $23^{ circ}C$ 에서 63.3%, $26^{ circ}C$ 에서 56.6%였으며, 수온 $29^{ circ}C$ 에서 노출 6일째 모두 사망하여 노출 6일 동안의 반수치사 수온은(6day- $LT^{50}$ )은 $24.58^{ circ}C$ ( $19.48{ sim}35.48^{ circ}C$ )였다. 용존산소 농도 감소에 따른 생존율은 노출 11일째 용존산소농도 $4.0mg ;L^{-1}$ 에서 20%였으며, $2.0mg ;L^{-1}$ 에서는 모두 사망하였고, 반수치사 용존산소 농도 (11day- $LC^{50}$ )는 $3.88mg ;L^{-1}$ ( $3.29{ sim}4.57mg ;L^{-1}$ )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질소 배설률은 임계수온 및 임계용존산소 농도이하에서 감소하였다. 수온 상승 및 용존산소 농도 감소에 따른 미더덕의 새낭, 소화관 및 피낭의 병리조직학적 결과는 각 기관을 구성하고 있는 상피세포층의 증식, 응축 및 괴사, 식세포 및 혈구침윤, 섬모탈락, 근섬유 변성 등의 변성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미더덕은 수온 $24^{ circ}C$ 이상, 용존산소 $3.8mg ;L^{-1}$ 이하에서 조직학적 병변, 대사율 감소 등으로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한 생물이므로 여름철에 양성되고 있는 미더덕의 양식장관리에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307543872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yela clava,high temperature,hypoxia,mortality,physiological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