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easonal variation of functional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ediment and shelter of sea cucumber(Apostichopus japonicus) cultural pond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 Fa-jun,TIAN, Xiang-li,DONG, Shuang-lin,YANG, Gang,LIU, Rui-juan,ZHANG, K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BIOLOG 기술과 RDA(Redundancy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해삼(Apostichopus japonicus) 양식 연못 바닥(퇴적물, 부착물)에 있는 미생물 군락의기능 다양성의 계절적 변화 및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해삼 연못 퇴적물과 부착물 내 미생물의 탄소원 총량과 단일 유형 탄소원에 대한 이용율은 모두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나타냈는데 전반적으로 봄, 여름, 가을에 겨울보다 높았다. 그 중 퇴적물 내 미생물은 폴리머(polymer), 당류, 카복실산(carboxylic acid)과 아미노산과 같은 탄소원에 대하여 높은 이용율을 나타냈으며 부착물 내 미생물은 폴리머, 당류, 아미노산과 아민(amine)과 같은 탄소원에 대하여 높은 이용율을 나타냈다. (2)주성분 분석 결과, 해삼 연못 퇴적물과 부착물 내 미생물의 탄소 대사방식은 모두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나타냈다. 퇴적물에서 주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탄소원은 18종이었다. 그 중 첫번째 주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주요하게 당류, 카복실산과 아미노산이었으며 두번째 주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주요하게 폴리머와 당류였다. 부착물에서 주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탄소원은 22종이었다. 그 중 첫번째 주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주요하게 폴리머, 당류, 카복실산과 아미노산이었으며 두번째 주성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주요하게 카복실산이었다. (3)해삼 연못 퇴적물과 부착물 내 미생물의 다양성 지수 Shannon, McIntosh, Simpson과 S-E 균등성은 모두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나타냈으나 서로 다른 지수 사이의 변화는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4)RDA 분석 결과, TP, NO 3 -N과 PO 4 -P은 퇴적물 내 미생물의 기능 다양성의 계절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였으며 SOM, NO 3 -N과 TN는 부착물 내 미생물의 기능 다양성의 계절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였다. 결과적으로 해삼 연못 퇴적물과 부착물 내 미생물의 기능 다양성의 계절적 변화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러한 변화는 환경 요인과 양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0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icrobial communities,functional diversity,seasonal variation,BIOLOG,RDA,environmental factors,sea cucumber cultural ponds,미생물 군락,기능 다양성,계절적 변화,BIOLOG,RDA,환경 요인,해삼 연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