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카드뮴음금용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
ISSN | 1738-1894,2287-5182 |
ISBN |
저자(한글) | 구광모,류홍열,김승현,김대영,황일순,심준보,이종현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경제적이고 우수한 핵확산저항성을 갖는 파이로공정의 핵심 단위공정인 전해제련 공정에서 U와 TRU를 동시에 회수하기 위해 환원전극으로써 LCC가 사용된다. 한가지 원소만을 회수하는 금속음극과는 달리 LCC는 전기화학적으로 U와 TRU의 선택적 분리가 어려워 핵확산저항성을 높이는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LCC를 담아놓는 LCC 도가니는 U나 TRU로만 전착되어야하기 때문에 도가니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LCC와의 안정성과 회수된 TRU 및 용융염과의 화학적 안전성은 물론 공정 중 전착될 수 있는 금속 Li과의 반응성도 고려되어야하므로 LCC 도가니의 소재 특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l_2O_3$ , MgO, $Y_2O_3$ , BeO 네 가지 대체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을 $500^{ circ}C$ 에서 모의 LCC로 열역학적 및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세라믹 기판 위의 LCC 접촉각은 화학적 반응성을 예측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Al_2O_3$ 는 가장 낮은 화학적 안정성 갖고 BeO는 재료 내에 존재하는 기공은 접촉각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MgO, $Y_2O_3$ 는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31285532739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파이로공정,액체카드뮴음극,열역학적 안정성,화학적 안정성,희토류 원소,Pyroprocess,LCC (Liquid Cadmium Cathode),Thermodynamic stability,Chemical stability,Rare-earth elements |